□ 서울시는 오는 4월 13일(목) 10시에 서울 송파구, 경기도 성남시, 하남시 간의 협력의 상징성을 고려하여 3개 시의 경계 부분인 위례중앙광장 북측에서 서울 송파구, 경기도 성남시, 하남시 주민들과 함께 착공식을 한다고 밝혔다.

○ 착공식엔 오세훈 서울시장, 김현기 서울시의회의장, 서강석 송파구청장, 신상진 성남시장, 이현재 하남시장과 지역 국회의원, 시․도․구의원, 공사관계자, 지역주민 등이 참석한다.

□ 위례신도시의 교통난 해소 및 대중교통 편의성 증진을 위한 위례트램 건설사업이 본격적인 착공에 들어가고, 2025년 개통 목표인 위례선 트램이 개통되면 1968년 서울에서 노면전차가 사라진 이후 57년 만에 부활하게 된다.

대한제국(고종 36년) 시기인 1899년 서대문~종로~동대문~청량리(8km)에 최초로 도입되었던 트램(TRAM·노면전차)는 1968년까지 약 70년간 운행되다가 자동차의 대중화로 사라졌다.

□ 위례트램 건설사업은 송파구 마천역을 출발해 위례북로를 따라 장지천을 횡단하여 위례 트랜짓몰, 위례중앙광장을 거쳐 창곡천을 따라 송파IC 하부를 통과, 복정역(8호선)에 이르는 본선과 창곡천에서 분기되어 남위례역(8호선)으로 연결되는 지선으로 나뉜다.

총 연장 5.4㎞에 정거장 12개소(환승역 3개소), 차량기지 1개소로 건설된다. 하천을 횡단하는 곳에는 주변 수변공간 및 지형과 어우러지는 교량 2개소가 건설되어 멋진 경관이 연출된다.

□ 서울시는 위례트램 건설로 ① 서울시와 송파구, 성남시, 하남시 등 도시 간 협력과 상생, ② 무공해 저탄소 친환경 교통수단의 도입, ③ 위례의 교통불편 해소 및 지역경제 활성화 등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.

 

<서울시, 송파구, 성남시, 하남시 등 도시 간 상호협력>

□ 위례신도시의 오랜 숙원사업인 위례트램은 서울 송파구와 경기 성남시를 통과하고 경기 하남시와 인접하고 있어 향후 건설 및 운영과정에서 위례신도시를 이루는 도시 간 긴밀한 협력과 상생이 필수적이다.

○ 위례트램은 지난 ‘19.5월 국토교통부, 서울시, 경기도, 송파구, 성남시, 한국토지주택공사, 서울도시주택공사 등 관계기관이 공공사업으로의 전환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이 체결되었다.

○ 서울시가 도시철도 건설의 많은 경험과 기술을 바탕으로 사업시행 주체가 되고, 송파구, 성남시, 하남시와 위례트램 건설에 적극적인 역할과 협력체계가 구축된다.

 

<철도와 버스의 장점만을 담은 무공해 저탄소 친환경 교통수단, 교통약자 이용 편리>

□ 위례트램은 ‘철도의 정시성’과 ‘버스의 접근성’의 장점과 더불어 배터리를 차량 상부에 탑재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방식으로 설계되어 차량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 필요 없어 도시경관을 해치지 않는 장점이 있다.

□ 또한 매연 없는 트램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무공해 저탄소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위례신도시와 같은 주택과 상업시설 밀집한 지역에 매우 적합한 신교통수단이다. 매립형 레일 위를 주행하므로 타 교통수단과 함께 이용할 수 있으며 소음도 최소화된다.

□ 저상으로 설계되어 승강장과 평행 승ㆍ하차를 할 수 있어 장애인ㆍ노약자 등 교통약자가 이용하기 편리하다. 지상에 설치되는 모든 정거장에는 곡선적 입면 형태의 캐노피 등으로 개방감을 확보하고, 장지천을 통과하는 케이블 형식의 교량에는 보행로와 중앙전망대가 설치되어 주변 수변공간을 조망할 수 있는 휴게공간이 제공된다.

 

<대중교통 인프라 확충으로 도심 접근성 크게 개선되고 지역경제 활성화 도와>

□ 부족한 대중교통 인프라 확충으로 위례신도시의 교통난 해소 및 대중교통 편의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대중교통 접근성이 크게 개선된다. 또한 향후 건설 예정인 위례신사선이 연결되면 위례신도시 주민의 도심 접근성이 크게 개선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.

1대당 객차가 5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, 최대정원 260명으로 버스 4대 분량의 수송용량을 가지게 된다. 총 10대의 열차가 출퇴근 시간대에는 5분, 평시간대에는 10분 간격(지선은 출퇴근시 10분, 평시 15분)으로 운행될 계획이다.

107정거장(위례중앙광장 부근)은 향후 위례신도시와 신사역을 연결하는 위례신사선의 환승정거장으로 이용될 예정이다.

□ 서울시 최초로 도시철도 건설 전과정(설계, 시공, 유지관리 등)에 3차원 모델링 검증 기법인 BIM(Building Information Modeling)을 도입하고, 스마트 통합관제시스템 및 CCTV관제시스템 등 10가지 첨단 스마트 안전기술을 도입하여 시공 중 최고의 품질과 안전을 확보한다.

○ BIM(건설정보모델링) : 3차원 모델과 자재, 제원 등 건설 정보를 결합하여 설계․시공․유지관리 건설 全과정의 정보를 통합적으로 생산·관리·활용하는 기술

▸ 가상공간 상의 3D 모델링을 통해 신속 정확한 검토 가능

▸ 각종 시뮬레이션을 통한 문제점 사전 예측 가능

- 3D모델 구현으로 기존 2D도면에서 발견하기 어려운 설계오류, 간섭 확인 용이

- 각종 시뮬레이션을 통한 디자인, 일조, 에너지성능, 교통, 경관 등 분석 및 대안 비교

 

□ 사업개요

○ 위 치 : 마천역(5호선)~복정역(8호선․본선)·남위례역(8호선․지선)

○ 규 모 : 총연장 5.4㎞, 정거장 12개소, 차량기지 1개소

○ 사업기간 : '19. 8. ~ '25. 9.

○ 총사업비 : 2,614억 원

 

□ 추진경과

○ '06. 7. : 위례신도시 택지개발사업 지구 지정

○ '08. 3. : 위례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 확정 - 트램 신설(민자사업)

○ '18. 7. : 민자적격성조사 결과(타당성 미확보)

○ '19. 5. : 재정사업 전환(국토교통부/서울시/LH 등 7개 기관 업무협약 체결)

○ '20.10. : 기본계획 승인(국토교통부)

○ '21.12. : 실시설계적격자 선정, 우선시공분 공사 착수

○ '22. 6. : 실시설계 완료

○ '22. 7. : 사업계획승인 신청

○ '22.12. : 사업계획 승인고시(국토교통부)

 

□ 향후계획

○ '22.11. : 본 공사 착공

○ '25. 9. : 개통 예정

위례트램 노선도
차량기지(종합관리동)

102 정거장

105 정거장

109 정거장

110 정거장

112 정거장
장지천교

트램차량
 

▶▶▶ '위례트램' 13일 착공식…2025년 개통 다운로드

(엠바고10시)(석간)서울시, 위례트램 13일 착공식&hellip;2025년 개통.pdf
1.08MB

 

▶▶▶ 함께 보면 좋은 자료

https://w-avenue.tistory.com/entry/%EA%B0%95%EB%82%A8-%EB%8F%84%EA%B3%A1%EC%9A%B0%EC%84%B1%EC%95%84%ED%8C%8C%ED%8A%B8-%EC%9E%AC%EA%B1%B4%EC%B6%95%EC%A0%95%EB%B9%84%EA%B3%84%ED%9A%8D-%EB%B0%8F-%EC%A0%95%EB%B9%84%EA%B5%AC%EC%97%AD-%EC%A7%80%EC%A0%95%EC%95%88%E2%80%9C%EC%88%98%EC%A0%95%EA%B0%80%EA%B2%B0%E2%80%9D

 

강남 도곡우성아파트 재건축정비계획 및 정비구역 지정(안)“수정가결”

□ 서울시는 2023년 4월 5일 제5차 도시계획위원회를 개최하고 도곡우성아파트 재건축 정비계획 및 정비구역 지정(안)을 “수정가결” 하였다. □ 강남구 도곡동 934-10번지 일대 도곡우성아파트는

w-avenue.tistory.com

 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