□ 한국부동산원(원장 손태락)이 2023년 4월 3주(4.17일 기준)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, 매매가격은 0.13% 하락, 전세가격은 0.20% 하락했다.

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
□ [전국 : -0.13%]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(-0.17%) 대비 하락폭 축소됐다. 수도권(-0.17%→-0.13%), 서울(-0.11%→-0.08%) 및 지방(-0.17%→-0.14%) 모두 하락폭 축소(5대광역시(-0.24%→-0.21%), 8개도(-0.13%→-0.10%), 세종(0.07%→0.17%))됐다.
ㅇ 시도별로는 세종(0.17%)은 상승, 대구(-0.29%), 부산(-0.22%), 울산(-0.19%), 경기(-0.17%), 제주(-0.14%), 대전(-0.13%), 광주(-0.13%), 전북(-0.12%), 경남(-0.11%) 등은 하락했다.
-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(10→17개)은 증가, 보합 지역(2→2개)은 유지, 하락 지역(164→157개)은 감소

□ [수도권 : -0.13%] 서울 0.08% 하락, 인천 0.02% 하락, 경기 0.17% 하락
ㅇ [서울 : -0.11% → -0.08%]
- 가격 추가 하락 기대와 매물적체 영향으로 관망세 지속되는 가운데, 급매물 소진되고 일부 선호도 높은 지역이나 단지 위주로 수요 발생하는 등 국지적으로 매물·거래 가격 상승하며 하락폭 축소
- (강북 14개구 : -0.12%) 도봉구(-0.23%)는 도봉‧방학‧쌍문동 구축 위주로, 동대문구(-0.21%)는 매물적체 영향 있는 제기‧휘경동 위주로, 중구(-0.20%)는 만리‧신당동 위주로 하락세 지속
- (강남 11개구 : -0.05%) 송파구(0.04%)는 오금‧문정동 소형평형이나 중저가 위주로, 서초(0.04%)‧강동구(0.01%)는 혼조세 보이는 가운데 주요단지 위주로 상승하며 상승전환. 강서구(-0.21%)는 방화‧가양동 구축 위주로, 구로구(-0.18%)는 천왕‧항‧오류동 위주로, 관악구(-0.17%)는 봉천‧신림동 대단지 위주로 하락
ㅇ [인천 : -0.07% → -0.02%]
- 서구(0.06%)는 신현·가정동 루원시티 대단지 위주로 상승세 지속, 미추홀구(0.03%)는 용현·주안동 주요단지 위주로, 연수구(0.01%)는 송도신도시 위주로 상승하며 상승 전환되었으나, 부평구(-0.12%)는 갈산·부개동 구축 위주로, 공급물량 영향 받는 동구(-0.10%)는 만석·송림동 위주로 하락하며 하락폭 축소
ㅇ [경기 : -0.22% → -0.17%]
- 용인 처인구(0.24%)는 개발호재에 따른 남사읍 위주로, 수원 영통구(0.07%)는 망포·영통동 구축 위주로 상승세 지속. 화성시(0.01%)는 동탄신도시 위주로 상승하며 상승전환 되었으나, 고양 일산서구(-0.42%)는 일산·탄현·대화동 주요단지 위주로, 군포시(-0.38%)는 산본·금정동 구축 위주로 하락하며 하락세 지속
□ [지방 : -0.14%] 5대광역시 0.21% 하락, 8개도 0.10% 하락, 세종 0.17% 상승
ㅇ [5대광역시 : -0.24% → -0.21%]
- (대구 : -0.31% → -0.29%) 동구(-0.38%)는 율하·지묘동 위주로, 남구(-0.34%)는 대명·봉덕동 위주로, 중구(-0.34%)는 대봉·동인동 위주로, 달서구(-0.32%)는 장기·죽전동 위주로 하락
- (부산 : -0.25% → -0.22%) 해운대구(-0.38%)는 재송·좌·반여동 위주로, 수영구(-0.38%)는 수영‧남천동 위주로, 영도구(-0.33%)는 봉래‧동삼·청학동 위주로 하락
ㅇ [세종 : 0.07% → 0.17%]
- 정주여건 양호한 새롬·소담·다정동 등 주요단지 위주로 상승
ㅇ [8개도 : -0.13% → -0.10%]
- (제주 : -0.18% → -0.14%) 제주시(-0.15%)는 월평동·애월읍 위주로 하락하는 등 하락세 지속되나 하락폭 축소
주간 아파트 전세가격 동향
□ [전국 : -0.20%]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(-0.24%) 대비 하락폭 축소됐다. 수도권(-0.27%→-0.23%), 서울(-0.20%→-0.17%) 및 지방(-0.21%→-0.18%) 모두 하락폭 축소(5대광역시(-0.29%→-0.25%), 8개도(-0.15%→-0.14%), 세종(0.03%→0.09%))됐다.
ㅇ 시도별로는 세종(0.09%)은 상승, 대구(-0.38%), 울산(-0.30%), 경기(-0.28%), 부산(-0.24%), 충남(-0.23%), 전북(-0.17%), 서울(-0.17%), 제주(-0.15%), 인천(-0.15%) 등은 하락했다.
-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(5→8개)은 증가, 보합 지역(6→3개)은 감소, 하락 지역(165→165개)은 유지

□ [수도권 : -0.23%] 서울 0.17% 하락, 인천 0.15% 하락, 경기 0.28% 하락
ㅇ [서울 : -0.20% → -0.17%]
- 신규 입주예정 물량의 영향 등으로 임차인 우위시장 지속되며 하락세 지속중이나, 일부지역은 급매물 소진되며 매물가격 상승하는 등 지역별 차등을 보이며 전체 하락폭은 축소
- (강북 14개구 : -0.21%) 도봉구(-0.32%)는 방학‧쌍문‧창동 구축위주로, 노원구(-0.31%)는 상계‧월계동 소형평형 위주로, 광진구(-0.29%)는 자양‧구의동 위주로, 동대문구(-0.22%)는 입주예정 물량의 영향을 받는 청량리‧전농‧이문동 위주로 하락하는 등 하락세 지속
- (강남 11개구 : -0.14%) 관악구(-0.25%)는 봉천‧신림동 대단지 위주로, 강남구(-0.22%)는 개포‧역삼‧청담동 위주로, 구로구(-0.21%)는 오류‧항‧개봉동 위주로, 서초구(-0.17%)는 서초‧잠원‧반포동 위주로 하락하며 하락세 지속
ㅇ [인천 : -0.22% → -0.15%]
- 서구(0.11%)는 누적 매물 소진되고 주요단지 위주로 임차수요 증가하며 상승 전환되었으나, 동구(-0.25%)는 송림·화수동 위주로 입주물량 영향 지속되며, 남동구(-0.24%)는 도림·서창·논현동 (준)신축 위주로, 중구(-0.24%)는 신흥‧운서‧중산동 위주로 하락
ㅇ [경기 : -0.31% → -0.28%]
- 성남 수정구(0.03%)는 신축 대단지 위주로 매물가격 상승하며 상승 전환되었으나, 전반적으로 매물적체 영향 지속되며 하락. 고양 일산서구(-0.81%)는 가좌‧탄현·덕이동 중저가 위주로, 오산시(-0.81%)는 지곶·수청·원동 주요단지 위주로, 광주시(-0.59%)는 매산·삼·양벌동 구축 위주로, 양주시(-0.56%)는 고암‧덕정동·백석읍 위주로 하락
□ [지방 : -0.18%] 5대광역시 0.25% 하락, 8개도 0.14% 하락, 세종 0.09% 상승
ㅇ [5대광역시 : -0.29% → -0.25%]
- (대구 : -0.37% → -0.38%) 동구(-0.55%)는 신기·용계동 구축 위주로, 중구(-0.55%)는 남산·대봉동 주요단지 위주로, 서구(-0.48%)는 평리·내당동 위주로 하락
- (울산 : -0.38% → -0.30%) 북구(-0.52%)는 상안동 구축 및 호계동 (준)신축 위주로, 동구(-0.48%)는 동부·서부동 대단지 위주로, 중구(-0.22%)는 유곡·반구동 위주로 하락
ㅇ [세종 : 0.03% → 0.09%]
- 선호지역 중심으로 상승세 유지하며 새롬·반곡동 위주로 상승
ㅇ [8개도 : -0.15% → -0.14%]
- (충남 : -0.27% → -0.23%) 서산시(-0.63%)는 읍내동·음암면 위주로, 당진시(-0.52%)는 원당·읍내동 위주로 하락
▶▶▶ 2023년 4월 3주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다운로드
!230420(보도자료)_주간아파트가격동향 (20230417기준).pdf
1.40MB
▶▶▶ 함께 보면 좋은 자료
https://w-avenue.tistory.com/entry/%EC%9E%84%EB%8C%80%EC%B0%A8%EA%B3%84%EC%95%BD-%EC%B2%B4%EA%B2%B0%EC%8B%9C-%EC%9E%84%EB%8C%80%EC%9D%B8%EC%9D%98-%EC%A0%95%EB%B3%B4-%EC%A0%9C%EC%8B%9C-%EC%9D%98%EB%AC%B4-%EC%8B%9C%ED%96%89%EC%8B%9C%ED%96%89-2023-4-18
임대차계약 체결시 임대인의 정보 제시 의무 시행[시행 2023. 4. 18.]
임대인의 정보 제시의무 신설 (법 제3조의7) 가. 개정배경 ❍전세사기 등 피해가 발생하는 주된 원인은 임차인이 계약을 체결할 때, 임대인의 세금 체납 정보, 선순위 보증금 정보 등 추후 보증금
w-avenue.tistory.com